전체 글 (22)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이썬만 배우면 데이터분석, 웹 프로그래밍 다 된다? 파이썬을 배우면서 들었던 의문을 문돌이 출신 전공자가 풀어드립니다. 목차 1. 파이썬만 배우면 된다고 말하는 사기꾼들 2. 큰맘 먹고 파이썬을 배우면 생기는 일 1) print('hello world') 1) 숫자야구게임, 로또숫자 맞추기 3. 파이썬으로 데이터분석, 웹플로그래밍을 하려면 .. 1) pandas, scikit-learn, tensorflow 2) django, flask, 호스팅 4. 파이썬도 복잡한데... 다른 언어가 낫지 않을까? 1. 파이썬만 배우면 된다고 말하는 사기꾼들 병장을 달 때 쯤인 2018년 1월부터 인터넷강의로 파이썬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한국인이 가르쳐주는 코딩 인강 업체가 많지 않았다. 지금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패스트캠퍼스, 러닝스푼즈, 코드잇 등 수많.. 네이버 정치기사 댓글 정책 전환 효과 분석(feat. 침묵의 나선 이론) 이 콘텐츠는 2019-1학기에 제가 수행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이버는 2018년 10월에 '정치' 섹션으로 분류된 기사에 한해서 댓글 정책을 언론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권한을 줬습니다. 기존에는 '공감을 많이 받을수록' 댓글이 상위 랭크에 올랐습니다. 즉, '공감의 갯수'가 노출 정책의 기준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댓글 배열 기준을 언론사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순공감순, 공감 비율 수' 등 언론사의 선택에 맡긴 것입니다. 그 이유는 정치권에서 네이버 댓글이 여론조작에 악용된다는 비판을 많이 받았기 때문입니다. '군중심리', '침묵의 나선이론 효과', '동조 효과' 등 근거가 되는 이론이 많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이론들의 핵심은 '한.. 미디어 환경 진화, 새로운 경쟁 문법 * 본 콘텐츠는 2019 미디어오늘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SK브로드밴드 BANC장 조영신님의 발표내용과 제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되었습니다. 레거시 미디어(Legacy Media, 전통적인 미디어)의 반격이 시작되었습니다. 레거시 미디어가 어떤 대응을 시작했는지 기업의 사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글로벌 콘텐츠 기업의 새로운 선택 1) '넷플릭스(OTT) vs 디즈니(레거시 미디어)' 디즈니는 자사 콘텐츠를 송출하는 OTT 서비스인 '디즈니+'를 19년 11월에 출시했습니다. 이전부터 디즈니는 넷플릭스를 비롯한 다른 OTT에 공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해왔습니다. 디즈니는 넷플릭스와 계약을 종료하면서 연간 1.5억 달러에 이르는 이익을 포기했습니다. 왜 디즈니는 연 1,800억원에 이르는 재무손실을 감.. 포털뉴스의 진화 - 게이트 키핑을 넘어 게이트 쉐어링으로 * 본 콘텐츠는 2019 미디어오늘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 운영총괄 전무님의 발표내용과 제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되었습니다. * 유봉석 전무님의 개인적 견해입니다. (네이버 대표의견이 아닙니다) 게이트 키핑을 넘어 게이트 쉐어링으로 포털뉴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 Channel Strategy 네이버 사례를 중심으로 구글, 네이버 메인화면의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 '뉴스가 있고없고'라고 생각합니다. 예전 미디어오늘의 설문조사 결과를 봐도 네이버, 다음과 같은 IT기업을 '언론사'라고 생각하는 독자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요즘 대부분 네이버, 다음을 통해서 뉴스를 접하죠. 네이버는 그동안 언론사에 강한 영향력을 끼쳐왔습니다. 이제는 'Channel S.. 김종배가 뉴스를 읽고 소비하는 방법 * 저널리즘 컨퍼런스 1일차 - 김종배 * 본 콘텐츠는 2019 미디어오늘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시사평론가 김종배님의 발표내용과 제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은 95%에 육박합니다. 1가정 1PC 시대를 지나, 개개인이 하나의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시대가 온 것이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가 발달했습니다. 아날로그 세계에서 모바일, SNS 시대로 접어들면서 많은 것들이 변했습니다. 시사평론가 김종배는 그 영향 중 '뉴스유통에서 시공간이 소멸되었다'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뉴스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고, 다른 뉴스와 비교하며, 단톡방으로 의견을 나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뉴스를 보면서 동시에 휴대폰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뉴스.. 미디어오늘 저널리즘의 미래 컨퍼런스 2019 안녕하세요. 이 게시글로 티스토리에 첫 발걸음을 내딛은 김동구입니다. 저는 경희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과를 본전공, 소프트웨어융합학과를 다전공으로 이수하고 있습니다. 기자가 되고 싶지만 언론고시(언론사 공개채용)는 준비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언론고시를 치지 않고 입사하는 기자가 가능할까? 그게 기자냐?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냥 막연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한물 갔을지 모르는 '데이터 저널리즘'을 목표로 언론정보학과와 소프트웨어융합학과에서 학문을 닦고 있습니다. 사실 데이터 저널리스트가 되지 못하더라도, 소프트웨어융합학과를 배워놓으면 어떻게든 먹고살지는 않을까 하는 속마음도 있긴 합니다! 학위만을 내세우는 게 아니라 그동안 당연히 최선을 다할 것이구요. 대한민국 미디어, 언론사, 방송사, 신문사,.. 이전 1 2 3 다음